
작년 우리나라 나이계산법이 만 나이로 변경된다는 이슈로 굉장히 떠들썩했습니다. 한국나이, 만 나이 이렇게 나이가 나뉘어서 "빠른"이라는 나이를 적용받아 나보다 다음 해에 태어난 사람과 친구가 되어서 인생을 살고 있으니 이제 와서 이게 무슨 소용인가 싶지만, 한편으로는 갑자기 나이가 어려진다는 느낌도 받아서 좋기도 한대요. 이 제도로 인하여 간당간당한 청년나이에 속하게 되니 청년나이 끝자락에서 혜택을 누려보기 위해 대해 이것저것 알아보던 중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오늘은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포스팅하고자 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작년 2월 시행했던 청년희망적금과 비슷하게 "청년"에 대한 현 정부의 공약입니다. 처음에는 10년 만기, 1억 만들기라고 이슈가 되었습니다만, 현재까지의 구체적인 사항을 보기 쉽게 아래표를 통해 정리해 두었습니다.
나이조건 |
만 19세~34세 청년(병역 기간 제외) | |
소득조건 |
비과세 혜택만 |
연 소득 7,500만원 이하(단, 종합소득금액 6,300만원 이하) |
비과세+ 정부지원금 |
연 소득 6,000만원 이하, 가구 중위소득 180% 이하 | |
월 납입가능금액 |
40~70만원 | |
납입기간 |
5년 | |
혜택(이자) |
시중금리(발표 전)+조건(납입금 등)에 따라 3~6% 정부 지원금 월 적립 |
|
납입 완료 시 금액 (최대기준) |
원금 4,200만원 + 이자 800만원(총 5,000만원) | |
과세여부 |
전액 비과세 | |
투자형태 | 적금형, 투자형(본인선택) | |
시행예정일 |
2023년 6월 |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소득 조건 두 가지입니다. 작년 말 첫 발표 시에는 '연 소득 6,000만 원 이하, 가구 소득 중위 180% 이하를 대상으로 한다.'라는 문장이 금융위원회 자료에 명시에 되어있었고, 올해 초 기획재정부에서 '연 소득 7,500만 원 이하인 청년도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면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라고 발표를 했기 때문인데요. 즉, 비과세 혜택과 정부지원금 적립 혜택을 다 같이 받으려면 개인소득 6,000만 원 이하와 가구 소득 중위 180% 이하 조건을 동시에 갖추어야 합니다. 2023년 발표한 가구 소득 중위 180%는 다음과 같습니다.
가구 소득중위 |
1인가구 | 2인가구 | 3인가구 | 4인가구 | 5인가구 | 6인가구 |
180% | 3,740,206 | 6,221,079 | 7,982,669 | 9,721,735 | 11,395,238 | 13,010,366 |
사실, 고소득(연 소득 7,500만 원)에 해당하시는 분들이 많이 계실 것 같지는 않습니다만, 고소득에 해당되신다면 요즘 금융기관에서 진행하는 비과세 상품들도 많기 때문에 시중금리가 발표되고 위의 정책이 공식적으로 발표된 후에 비교하셔서 고민해 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또한, 소득기준은 2022년 보수총액 기준임을 참고하셔야 합니다.
청년도약계좌 vs 청년희망적금
위의 두 상품 동시 가입여부는 아직 결정된 것은 없습니다. 다만, 정부의 특성상 중복가입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됩니다.
두 상품의 내용을 아래 비교해 보았습니다.
비교항목 | 청년도약계좌 | 청년희망적금 |
나이조건 | 만 19세 ~ 만 34세 이하(병역기간 제외) | |
소득조건 (정부지원금 적립 기준) |
연 소득 6,000만원 이하 가구 중위소득 180% 이하 |
연 소득 3,600만원 이하 (종합소득 2,600만원 이하) |
월 납입가능 금액 | 40만원~70만원 | 최대 50만원 (연 600만원까지) |
납입기간 | 5년 | 2년 |
납입 완료 시 금액(최대기준) | 50,000,000원 | 12,985,000원 |
투자형태 | 적금형, 투자형 | 적금형 |
시행예정일 | 2023년 6월 | 신규가입불가 |
청년도약계좌가 청년희망적금에 비해 조건이 많이 완화되었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정책에 따라 이동가입이 가능하다고 하면 비교하셔서 이동하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저는 청년희망적금을 신청하지 않았기 때문에 청년도약계좌가 눈길이 많이 갑니다. 물론, 정확한 사항은 5월~6월쯤 발표가 될 것으로 예상되어 여러 조건을 확인해 봐야겠지만 투자에 똥손인 저는 얌전하게 적금으로 목돈을 모아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여러분들도 일단 나이조건에 해당되신다면 계획을 잘 세우셔서 가입을 고민해 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청년도약계좌의 세부사항이 공식적으로 발표되면 정보 공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잡학다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연금 2030세대 받을 수 있나? 국민연금 보험료가 오른다. (0) | 2023.03.12 |
---|---|
신용카드 카드론 리볼빙 현금서비스 한눈에 알아보고 사용하기 (0) | 2023.03.10 |
채무조정제도 전체비교(신용회복위원회) (0) | 2023.03.04 |
신용회복위원회 소액금융 대출 최대 1500만원 받을 수 있다. (0) | 2023.03.03 |
인천 영종대교 3200원, 인천대교 2,000원으로 통행료 확 낮춘다. (0) | 2023.03.01 |